영어를 공부할 때 자주 만나는 표현 중 하나가 ‘supposed to’입니다. 이 표현은 단순히 계획이나 기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, 현실과의 차이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. 특히 가정법적인 뉘앙스를 자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, 조금 더 깊이 이해해야 영어 실력이 한층 더 발전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‘supposed to’의 의미와 용법, 그리고 실제 예문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.
1. ‘Supposed To’의 기본 의미
‘Supposed to’는 주로 ~하기로 되어 있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며, 상황에 따라 의무나 기대를 나타냅니다. 이 표현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결과적으로 그 기대가 실현되지 않았을 때 사용된다는 점입니다.
- “You were supposed to call me last night.”
→ “너는 어젯밤 나에게 전화하기로 되어 있었어.” (하지만 실제로는 전화하지 않았음)
이 문장에서는 기대된 행동(전화하기)와 실제 상황(전화하지 않음) 사이의 차이를 강조합니다.
2. 가정법과 함께 쓰이는 경우
많은 경우, ‘supposed to’는 가정법의 느낌을 내포합니다. 가정법은 현실과는 다른 상황을 상상하거나 이야기할 때 자주 사용되며, ‘supposed to’는 기대와 현실 사이의 차이를 강조할 때 유용합니다.
- “He is supposed to be here.”
→ “그는 여기 있어야 해.” (하지만 여기 없을 가능성이 큼)
이처럼 기대된 행동과 실제 현실이 일치하지 않을 때 ‘supposed to’가 사용됩니다.
3. 현재분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
‘Supposed to’는 현재분사와 함께 사용되어 현재 또는 미래의 의무를 표현할 때도 많이 쓰입니다. 예를 들어:
- “I am supposed to be working right now.”
→ “나는 지금 일하고 있어야 해.” (하지만 실제로는 일하지 않고 있을 가능성 있음)
이 표현은 현재의 의무를 나타내며, 현실과 기대의 차이를 한층 더 강조합니다.
4.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예문
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‘supposed to’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예문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. 다음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예문들입니다:
- “We were supposed to meet at 3 PM.”
→ “우리는 3시에 만나기로 되어 있었어.” - “She was supposed to finish the report by now.”
→ “그녀는 지금쯤 보고서를 끝냈어야 해.”
이 예문들은 의무와 기대가 있지만, 그 결과가 일치하지 않았음을 보여줍니다.
5. Supposed To를 쉽게 사용하는 팁
‘Supposed to’를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상적인 대화 속에서 자주 연습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 특히 이 표현은 책임이나 의무를 나타낼 때 유용하기 때문에, 업무나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을 많이 찾아보는 것이 좋습니다.
6. 결론
‘Supposed to’는 영어에서 매우 중요한 표현으로, 의무나 기대를 나타내며, 특히 가정법적인 뉘앙스를 포함하고 있습니다. 이 표현을 제대로 이해하면, 현실과 기대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크게 향상될 것입니다. 다양한 예문을 통해 연습하고, 실제 대화에서 이 표현을 사용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.
이번 글을 통해 ‘supposed to’의 의미와 사용법을 확실히 익히고, 더 자연스러운 영어 표현을 구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. 영어 숙어를 확실히 마스터하는 것이 영어 실력 향상의 지름길입니다!
[유사한 포스팅 글 소개]